개량 Al-0.7Mn 합금의 미세조직, 부식 저항성 및 인장 특성

Microstructure, Corrosion Resistance and Tensile Properties of Modified Al-0.7Mn Alloy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Met. Mater.. 2024;62(11):886-89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November 5
doi : https://doi.org/10.3365/KJMM.2024.62.11.886
1Department of Material Science and Engineering, Inha University, Incheon 22212, Republic of Korea
2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Incheon 21999, Republic of Korea
3Daehan Air Conditioner Co. LTD, Osan 18102, Republic of Korea
황원구1, 강태훈1, 최호준2, 신영철2, 이승철3, 이기안1,
1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한국생산기술연구원
3대한공조㈜

- 황원구: 박사과정, 강태훈: 박사후연구원, 최호준: 책임연구원, 신영철: 수석연구원, 이승철: 과장, 이기안: 교수

*Corresponding Author: Kee-Ahn Lee Tel: +82-32-860-7532, E-mail: keeahn@inha.ac.kr
Received 2024 July 30; Accepted 2024 September 3.

Trans Abstract

A modified alloy (Al-0.7Mn) was designed and fabricated with an increased Mn content up to 0.7wt.% and a controlled Fe content of 0.1wt.%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l3102 (Al-0.3Mn) alloy using the air-slip casting process. Both alloys were homogenized at 510°C for 10 hours and then air-cooled. The microstructure, corrosion resistanc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In the modified Al-0.7Mn alloy, the Mn/Fe ratios were found to be higher in both the α-Al matrix and the intermetallic compound of Al6(Mn, Fe) compared to those of the Al3102 alloy. Additionally, the size and volume fraction of the Al6(Mn, Fe) phase were relatively larger and higher in the modified Al-0.7Mn alloy, while the grain size of the α-Al matrix was significantly smaller. The galvanic corrosion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rosion potential (Ecorr) of the conventional Al3102 allo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odified Al-0.7Mn alloy (Al-0.7Mn: -682.1mV, Al3102: -652.4mV). In contrast, the corrosion current (Icorr) and corrosion rate were measured to be 49.86 μA and 0.541 mm/year for the Al-0.7Mn alloy, and 53.91 μA and 0.585 mm/year for the Al3102 alloy, respectively.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osion rate of the Al-0.7Mn alloy was slow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lloy, indicating better corrosion resistance. Room temperature tensile results showed that the tensile strengths of the modified and conventional alloys were 92.55 MPa and 78.39 MPa, respectively, demonstrating that the modified Al-0.7Mn alloy achieved higher strength without a significant decrease in ductility. This improvement is attributed to the higher Mn/Fe wt.% ratio in the Al6(Mn, Fe) phase of the modified Al-0.7Mn alloy, which can reduce the detrimental effect of Fe element and enhance the corrosion resistance. Additionally, the larger size and higher volume fraction of Al6(Mn, Fe) in the modified alloy, along with the smaller grain size, may contribute to the higher tensile strength.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rrosion mechanisms and deformation behavior of the modified Al-0.7Mn alloy were also discussed.

1. 서 론

Al3102 합금은 3xxx 계열(Al-Mn) 합금 중에서 낮은 합금 원소 함량으로 인해 우수한 가공성, 적절한 기계적 특성, 뛰어난 내식성 및 높은 열전도도를 나타내며, 히터 튜브와 자동차 열 교환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부품에 사용되고 있다[1-3]. 최근 부품의 효율 향상을 위해 고온, 고압의 가혹한 환경에서 장수명을 가질 수 있는 부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4,5]. 따라서 향상된 부식 저항성과 높은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Al3XXX계 합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Al3102 및 Al-Mn 계열 합금에서는 Mn 원소의 첨가를 통해 고용 강화(solid solution strengthening)와 미세 석출 강화(precipitation strengthening) 효과를 얻을 수 있다[6-9]. 특히, 이 합금계에서 주로 석출되는 금속 간 화합물인 Al6Mn과 기지 α-Al의 전극 전위가 유사하여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부식 저항성은 크게 저하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11]. 반면, Fe 원소는 소량의 불순물로 존재하며, Al-Mn 합금계에서 거의 고용되지 않아 금속간 화합물(Al6(Mn, Fe), α-Al(Mn, Fe)3Si 등)의 형성을 촉진하고[12], 금속간 화합물의 미세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6,13]. 그러나 Al-Mn 계열 합금에서 Fe 함량이 지나치게 첨가되는 경우, 금속간 화합물(Al3Fe, Al6(Mn, Fe), α-Al(Mn, Fe)3Si)의 부식 가능성이 증가하고 전기화학적 환원 반응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14-18] 알려져 있어 Fe 함량의 섬세한 제어를 통해 기계적 특성과 부식 저항성 사이에 trade-off가 나타나지 않는 Mn과 Fe의 조성비 (Mn/Fe ratio)를 찾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최근 Al-Mn 계열 합금에서 금속간 화합물이 부식 저항성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줄이기 위해 Fe 함량을 감소시키거나 Mn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19]. 그러나 Fe 함량을 줄이면 금속간 화합물의 크기가 커지고 분율이 감소하여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6,14], Mn 함량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금속간 화합물의 크기와 분율이 증가하여 부식 저항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이 보고되었다[20].

현재 Al3102 합금은 Al: 97.85 to 99.95%, Mn: 0.05 to 0.40%, Fe: 0.7% max, Si: 0.4% max으로 규정되고 있으며[21], 기존 연구는 주로 상용 소재의 표준 조성 범위 내에서 합금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 변화를 조사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5,8,9,16]. 그러나 Mn을 표준 조성 이상으로 첨가하고 Fe 함량을 감소시켰을 때 부식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Al3102 합금의 부식 저항성과 기계적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Mn 함량을 0.7 wt.%로 증가시키고 Fe 함량을 0.1 wt.%로 제한한 개량된 Al-0.7Mn 합금을 설계하고 제조하였다. Fe 함량을 0.1 wt.%로 제한한 이유는, Fe가 기계적 특성을 강화하는 반면, 부식 저항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금속간 화합물 생성을 최소화하고,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부식 저항성과 기계적 특성 간의 균형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Mn 함량을 0.7 wt.%로 설정한 것은, 고용 강화와 석출 강화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Fe 원소의 해로운 영향을 상쇄하고, 과도한 금속간 화합물 생성을 억제하여 부식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와 함께 비교재로서 기존 Al3102 합금도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였으며, 두 소재의 미세조직을 조사하고 부식 저항성과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여 Mn과 Fe 함량 조절이 합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2. 실험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소재들은 air-slip casting 공정으로 200 mm (D) × 320 mm (L)의 실린더 형상으로 주조되었으며, 이후 510°C에서 10시간 균질화 처리한 후에 공랭(air-cooling) 하였다. 미세조직 분석과 물성 평가하기 위해서 주조재 중앙 부분에서 60 mm (W) × 60 mm (L) × 100 mm (H) 시험편을 채취하였다.

제조된 합금들의 성분은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ma 7300DV)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미세조직 분석을 위해서는 준비된 시편들을 #400~#4000까지 연마(polishing)하였고, 이후 1 μm 다이아몬드 페이스트(paste)를 이용하여 추가 경면 연마를 실시하였다. 두 소재들의 상 분석을 위하여 XRD (X-ray diffraction, Ultima IV) 분석과 EPMA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zer, EPMA-1600)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조성에 따른 금속간 화학물 및 결정립 등의 미세조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FE-SEM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ESCAN, MYRA III) 및 EBSD (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OXFORD-MYRA III) 장비들을 이용하여 관찰, 분석하였다. α-Al에 함유된 Mn과 Fe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서 FE-SEM (field emission-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과 EDS (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JEM-2100F) 장비들을 사용하였다. 관찰용 TEM 시편 준비를 위하여 먼저 두께 80~100 μm의 박편을 기계적인 연마로 제조하고 Nital (35% HNO3 + 65% CH3OH) 용액을 이용하여 -20°C, 20 V조건에서 제트 폴리싱 (jet polishing)을 수행하였다.

제조된 개량 Al-0.7Mn 합금과 기존 Al3102 합금의 부식 특성은 갈바닉 부식 (galvanic corrosion) 시험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이 때 부식 시험 장비는 Galvanostat (SP 150, Neo Science)를 사용하였다. 시편 준비를 위해 먼저 부식 시험용 사각형 시편 (60 mm (W) × 25 mm (L) × 4 mm (H))을 가공하고 0.1 μm diamond paste로 연마 후 알코올로 세척하였다. 사용된 부식 용액은 58.5 g NaCl + 9 mL H2O2 + 1L 증류수였으며, 실험은 ASTM G 69 기준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 온도는 상온인 25°C, 측정 전위 속도는 1 mV/s, 측정 전위 범위는 –1 V ~ 1 V 조건이었으며, 두 합금들에 대하여 각각 3회씩 반복 실험하였다.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비커스 경도(Vickers hardness) 및 인장 시험들을 수행하였다. 비커스 경도는 주조재 중앙 부분에서 300 gf의 하중 조건과 10초의 유지 시간 조건으로 각 시편당 10번씩 수행하였다. 인장 실험은 Instron8501 장비를 사용하여 실시하였고 이 때 ASTM E8M에 부합하는 시험편 형상을 가공하여 strain rate: 10-3/s 조건 하에서 시편 조건당 각각 3번씩 반복 수행하였다. 부식 시편 및 인장 파단면을 관찰/분석하기 위하여 FE-SEM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ESCAN; MYRA III) 장비를 사용하였다.

3. 결과 및 분석

3.1 개량 Al-0.7Mn 합금과 기존 Al3102 합금의 미세조직 및 상분석 결과

개량 Al-0.7Mn 합금과 기존 Al3102 합금의 ICP 분석 결과를 표 1에 제시하였다.

Chemical compositions of conventional Al3102 and modified Al-0.7Mn alloys used in this study (in wt.%).

분석 결과, 두 합금 모두 목표 값에 근접한 화학 조성을 보였다. 기존 Al3102 합금은 표준 조성 범위와 유사하나 Mn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Fe 함량은 두 소재들 모두 목표 값보다 약간 높게 측정되었으며, 기존 Al3102 합금의 Fe 함량이 0.253 wt.%인 반면, 개량 Al-0.7Mn 합금은 0.119 wt.%로 더 낮게 나타났다. Si 함량은 두 합금들에서 유사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Mn 함량의 경우, 기존 Al3102 합금은 0.492 wt.%로 나타났으며, 개량 Al-0.7Mn 합금은 목표 값(0.700 wt.%)보다 약간 높은 0.747 wt.%로 측정되었다.

두 소재들의 초기 미세조직 관찰 결과들을 그림 1에 제시하였다.

Fig. 1.

Microstructural observation result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FE-SEM).

두 소재들 모두 결정립계에 금속간 화합물이 석출되었고, 결정립내에도 일부 금속간 화학물들이 검출되었다. 기존 Al3102 합금의 경우는 금속간 화합물들이 미세하게 잘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고, 개량 Al-0.7Mn 합금에서는 금속간 화합물들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불균일하였으며 그 중 일부 금속간 화합물들은 뭉쳐 있는 형태로 존재하였다.

개량 Al-0.7Mn 합금과 기존 Al3102 합금의 XRD 상분석 결과들을 그림 2에 제시하였다.

Fig. 2.

XRD phase analysis results of conventional Al3102 and modified Al-0.7Mn alloys.

두 소재들 모두 주로 α-Al 상[00-039-0950 (ICDD)]과 Al6(Mn, Fe) 상[00-004-0787 (ICDD)]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금속간 화합물의 형상와 화학 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EPAM를 이용하여 관찰/분석하였다.

그림 3에 제시한 것처럼 두 합금들의 금속간 화합물들은 모두 구형 형상과 Rod-like의 특징을 보였다. 금속간 화합물들의 화학 조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두 소재들의 금속 간 화합물들 모두 Al, Mn, Fe 원소들이 검출되어 Al-Mn계 금속간 화합물 Al6(Mn, Fe) 상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기존 Al3102 합금의 일부 금속간 화합물에서는 Si 원소가 검출되어 아주 미량의 α-Al12(Mn, Fe)3Si 상도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Al-Mn계 합금의 상태도에서 510°C의 경우 0.250 wt.%의 Mn과 0.080 wt.%의 Si의 최대 고용도들을 나타내 Mn 원소가 Si 원소보다 더 많이 고용될 수 있지만, 400°C의 경우에서는 Mn (0.060 wt%)과 Si (0.080 wt%)의 최대 고용도를 가진다[22,23]. 상기 결과에 기반으로 510°C에서 Si보다 Mn 함량이 높은 경우는 Mn이 먼저 석출되어 Al6(Mn, Fe)을 형성하기 때문에 느린 냉각 속도에서 α-Al12(Mn, Fe)3Si 상을 형성하기 어려움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금속간 화합물들은 주로 Al6(Mn, Fe)상을 나타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Fig. 3.

EPMA analysis result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FE-SEM 관찰 사진과 ImageJ2 프로그램을 통해서 두 소재들의 금속간 화합물 분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정리하였다.

Al6(Mn, Fe) size fractions and average grain size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개량 Al-0.7Mn 합금의 금속간 화합물 분율은 0.89 ± 0.24%로, 기존 Al3102 합금의 금속간 화합물 분율은 0.37 ± 0.12로 측정되어, 개량 합금이 더 높은 분율의 금속간 화합물을 나타냈다. 이는 상태도를 참조하여 예측한 결과와도 잘 일치하는 것이다[6]. 두 소재들의 금속간 화합물의 크기도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들을 표 2에 함께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금속간 화합물들의 평균 크기들은 개량 Al-0.7Mn 합금에서 2.91±1.9 μm로 기존 합금에서 1.93±0.58 μm로 측정되었다. 일반적으로 Al-Mn계 합금에서 Mn과 Si는 각각 1.3 wt.%와 0.1 wt.%의 최대 고용도를 나타내는 반면, Fe 원소는 거의 고용도가 거의 없기 때문에 Fe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서 금속간 화합물 형성이 촉진되고 금속간 화합물에 미세화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6,12,13]. 본 연구에서 개량 Al-0.7Mn 합금이 기존 합금보다 Mn 함량이 높고 Fe 함량이 낮기 때문에 관찰되는 금속간 화합물들이 더 조대화되고 불 균일하게 분포하며 일부 서로 뭉치는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4(a, b)는 개량 합금과 기존 합금의 EBS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 4.

EBSD IPF map and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is results of initial microstructure of (a,c) Al3102 and (b,d) Al-0.7Mn alloys.

IPF (Inverse pole figure) map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소재들 모두 방향성을 가지지 않는 등방성 결정립(equiaxed grain)을 나타냈다. 그림 4(c, d)에 제시된 것처럼 OIM (online interview manager)을 이용하여 두 소재들의 결정립 사이즈를 측정하였다. 기존 Al3102 합금은 일부 작은 결정립들이 존재하지만, 개량 Al-0.7Mn 합금 대비 대부분에 큰 결정립을 보였다. 표 2에 제시된 것처럼 개량 Al-0.7Mn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133.67 μm로 기존 Al3102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259.54 μm로 측정되어 개량 합금이 기존 합금보다 현저히 작은 (~1/2배 수준의) 값을 나타냈다. 기존 합금의 경우 개량 Al-0.7Mn 합금에 비하여 Fe 함량(0.253 wt.%)이 더 높기 때문에 이 요인만을 고려할 때는 기지 내 Mn의 고용도를 낮게 조장하고 용이한 금속간 화합물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개량 Al-0.7Mn 합금의 Mn(0.747wt%) 함량이 기존 합금의 Mn(0.492wt%) 함량보다 현저히 더 높기 때문에 균질화 처리와 공랭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개발 합금이 더 많은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하여 Al-0.7Mn 합금에서 더 미세한 결정립이 발달한 주요 원인은 높은 금속간 화합물 분율에 의한 고착(pinning) 효과로 설명될 수 있다. 이 효과는 균질화 처리와 공랭 과정에서 형성되는 금속간 화합물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즉 공랭 간 Al-0.7Mn 합금의 결정립 성장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금속간 화합물에 의해 결정립계의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결정립 성장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결정립 미세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Mn 함량이 증가할수록 금속간 화합물의 분율이 더욱 증가하여 결정립 크기는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3.2 개량 Al-0.7Mn 합금과 기존 Al3102 합금의 부식 저항 특성

갈바닉 부식 시험을 통해 얻어진 분극 곡선(polarization curves)들을 그림 5에 나타냈다.

Fig. 5.

Tafel polarization plots of galvanic polarization corrosion test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이를 바탕으로 두 Al-Mn 소재들의 부식 전위(Ecorr), 부식 전류(Icorr) 및 부식 속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Galvanic polarization corrosion result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기존 Al3102 합금의 부식 전위(Ecorr)는 -0.654.629V로 측정되었고, 개량 Al-0.7Mn 합금의 부식 전위는 -0.667.539V로 얻어져 기존 합금 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었다. 부식 전류(Icorr) 값들은 기존 합금에서 0.53×10-4 A/cm2으로 개량 합금에서 0.47×10-4 A/cm2으로 얻어져 개량 Al-0.7Mn 합금이 기존 합금보다 더 낮은(우수한 부식 저항성) 값을 보였다. 또한 부식 속도는 개량 Al-0.7Mn 합금에서 0.465 mm/year으로 측정되어 기존 합금(0.531 mm/year) 대비 더 느린 부식 속도(우수한 부식 저항성)를 나타냈다.

두 소재들의 부식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서 부식 시험 후 표면들과 단면들을 관찰하였다. 먼저, 그림 6(a, c)를 바탕으로 부식 후 표면들을 비교해보면 두 소재들 모두 pitting corrosion 특징의 부식 표면들을 나타냈다. 여기에서 개량 Al-0.7Mn 합금은 기존 Al3102 합금 대비 부식된 영역이 더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6.

Surface observation results (FE-SEM, EDS) after galvanic corrosion tests of (a,b) Al3102 and (c,d) Al-0.7Mn alloys.

이와 함께 두 소재들 모두 금속간 화합물부터 부식이 시작되었고, 기존 합금보다 개량 합금의 금속간 화합물들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부식 면적도 더 넓은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두 소재들의 부식 단면 관찰 결과 그림 7에 나타낸 것처럼 기존 Al3102 합금의 최대 부식 깊이는 193.84 μm로 측정되었고, 개량 Al-0.7Mn 합금의 최대 부식 깊이는 61.81 μm로 나타났으며, 개량 합금의 부식 깊이가 더 얕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7.

Cross-section observation results (OM) after galvanic corrosion tests of (a) Al3102 and (b) Al-0.7Mn alloys.

일반적으로 Al-Mn계 합금의 부식은 그림 8에 제시한 것처럼 Al 기지 조직과 금속간 화합물의 사이에서 추가적인 산화를 막을 수 있는 알루미늄 산화층(Al2O3)이 쉽게 분포하지 않기 때문에 그 경계에서 주로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Fig. 8.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mechanism of Al-Mn alloys[5,6].

표 4에 제시한 것처럼 Al 기지 조직과 금속간 화합물의 전기 전위차를 살펴보면 금속간 화합물에 Mn이 들어가면 Al 기지 조직과 금속간 화합물의 전위차가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Al-Mn계 합금에서 부식 저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다음의 세 가지가 있다. 먼저 (1) 금속간 입자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미치는 Fe 함량이다. 이는 Fe 원소 포함된 금속간 화합물들(Al3Fe, Al6(Mn, Fe), α-Al(Mn, Fe)Si)이 전기 화학에서 음극 반응에 효과적인 촉매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금속간 화합물의 Fe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지와 금속간 화합물의 전기 전위차를 증가하게 되어 전기 화학적 환원율을 증가시킨다[14,19,24]. (2) 두번째로 Mn 함량이 증가되면 α-Al에 고용된 Mn의 양과 금속간 화합물의 Mn 함량이 동시에 증가하게 되는데, α-Al에 Mn 함량을 증가하면 전기 화학 반응과 관련된 고용 저항성이 향상되고, 금속간 화합물에 Mn 함량이 증가하게 되면 간극 입자에 음극 반응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14,15,17]. 상기 두 가지 인자((1), (2))에 의하면 Mn 증가함과 Fe 감소함에 따라서 기지와 금속간 화합물의 전위차가 감소하기 때문에 갈바닉 부식이 억제되어 내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3) 세번째로 금속간 화합물의 분율과 크기가 줄어들면 전위차에 의한 전기 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Al-Mn 계 합금의 부식 저항성이 향상될 수 있다[20].

Approximate corrosion potential (Ecorr) values of aluminium and some intermetallic particles (mV, SCE) based on ASTM G69(NaCl-hydrogen peroxide solution)[3,4].

본 연구에서 개량 Al-0.7Mn 합금의 금속간 화합물의 분율 및 크기가 기존 A3102 합금보다 더 높고 조대하였다(표 2). 즉 금속간 화합물의 분율 및 크기를 고려할 때 개량 합금은 기존 합금보다 전기 화학을 반응을 유발하는 면접이 더 넓은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두 소재들의 Si 함량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두 소재들 중에서 기존 Al3102 합금에서 α-Al(Mn, Fe)Si 상이 미량 검출되었지만 대부분의 금속간 화합물은 Al6(Mn, Fe) 상으로 제시되었다(그림 3그림 2). 이에 따라서 Al6(Mn, Fe) 상과 α-Al 상 내부에 존재하는 Mn과 Fe의 함량들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두 소재들의 Al6(Mn, Fe) 상의 Mn과 Fe의 함량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SEM-EDS를 이용하여 점 분석으로 각 합금별로 20개 이상의 금속간 화합물들을 분석하였다 (그림 8(c, d)). 그 결과 그림 9(a)에 Mn/Fe 도표에서 제시한 것처럼 개량 Al-0.7Mn의 Al6(Mn, Fe) 상에서 기존 Al3102 합금에서 보다 더 높은 Mn 함량과 낮은 Fe 함량을 나타냈다. 두 소재들에서 α-Al 상 내부의 Mn 함량과 Fe 함량은 아주 미량으로 존재하였기 때문에 더 정확한 분석을 하기 위해서 추가로 TEM-EDS를 이용하였다. 그림 9(e,f)에 나타낸 것처럼 밝은 영역에 TEM-EDS로 20 points 이상을 측정하여 그림 9(b)에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Fe 원소의 고용 함량이 증가하게 되면 반대로 Mn의 고용 함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F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Mn 원소가 더 쉽게 석출물로 변환될 수 있다[6].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개량 합금이 기존 합금보다 α-Al 상 기지에서도 주로 더 높은 Mn 함량과 낮은 Fe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개량 합금의 α-Al 상 기지에서는 Mn 함량의 분포 범위가 넓게 나타났으며 일부 영역에서는 낮은 Mn 함량을 보였다.

Fig. 9.

(a) Component analysis results of Al6(Mn, Fe) of Al3102 and Al-0.7Mn alloys (FE-SEM, EDS), (b) those of Mn and Fe elements of α-Al (FE-TEM, EDS), (c, d) SEM images, (e, f) TEM image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l3102 합금의 부식 특성은 두 가지 주요 요인들에 의해 좌우된다. 첫번째로, Al 기지 조직과 금속간 화합물 사이 경계에서 부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금속간 화합물의 크기와 분율이 중요하다는 것과, 두번째로 Al 기지 조직과 금속간 화합물 내에서 높은 Mn 함량과 낮은 Fe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Al3102 합금의 부식 저항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개량 Al-0.7Mn 합금의 초기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Al6(Mn, Fe)상의 크기가 기존 Al3102 합금에 비해 더 조대하고 높은 분율로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금속간 화합물과의 계면 면적 또한 더 넓게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개량 Al-0.7Mn 합금은 부식 환경에서 전기 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계면 면적이 증가하였고, α-Al 기지 조직에서 낮은 Mn 함량을 나타내고 있어 기존 Al3102 합금에 비해 더 낮은 부식 전위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개량 Al-0.7Mn 합금의 Al6(Mn, Fe)상과 α-Al상은 높은 Mn 함량과 낮은 Fe 함량을 가지고 있어, 기지 조직과 금속간 화합물 사이의 전기 전위 차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기 화학 반응 속도가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개량 Al-0.7Mn 합금은 부식 전류 밀도(Icorr)가 감소함에 따라 부식 속도가 느려지고, 얕은 부식 깊이를 나타내 Al3102 합금 대비 우수한 부식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3.3 개량 Al-0.7Mn 합금과 기존 Al3102 합금의 기계적 특성

개량 및 기존 합금들의 상온 인장 실험 결과를 그림 10에 나타냈으며, 측정된 경도 및 상온 인장 물성을 표 5에 정리하였다.

Fig. 10.

Room temperature tensile stress-strain curve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Room temperature tensile propertie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기존 Al3102 합금의 경도 값은 29.8 Hv로 얻어졌으며, 개량 Al-0.7Mn 합금의 경도 값은 39.5 Hv로 나타났다. 즉 개량 합금의 경도 값이 기존 합금보다 +9.7 Hv (24.56%) 만큼 더 높았다. 두 소재들의 상온 인장 실험 결과에서 항복 강도(yield strength)는 개량 합금 60.79 MPa, 기존 합금 49.82 MPa로 나타났으며,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는 개량 합금 95.01 MPa, 기존 합금 78.84 MPa로, 연신율은 29.02%(개량 합금)와 31.91%(기존 합금)로 얻어졌다. 즉 개량 합금을 기존 합금과 비교하였을 때, 큰 연신율의 저감(-2.89%)없이, 명확한 인장 강도의 향상(+16.17 MPa)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미세조직 관찰 결과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개량 Al-0.7Mn 합금은 기존 Al3102 합금과 비교하여 금속 간 화합물의 크기가 크고 분율이 높으며(표 2, 그림 3), 결정립 사이즈가 작게 (그림 4)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개량 합금에서 석출 강화 및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더 강하게 작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α-Al상 기지에 고용된 원소 함량들을 비교해보면 거의 고용되지 않는 낮은 Fe 고용 함량에 비하여 개량 Al-0.7Mn 합금의 Mn 고용 함량이 기존 합금에 비하여 더 높게 확인되었다 (그림 9).

이에 따라 개량 합금의 고용 강화 효과가 기존 합금에 비해서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개량 Al-0.7Mn 합금은 기존 합금에 비하여 더 높은 석출 강화, 결정립 미세화, 고용 강화 효과들이 함께 작용하여 큰 연신율의 저하 없이 의미있는 강도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E-SEM을 이용한 두 소재들의 인장 파단면 관찰결과를 그림 11에 제시하였다.

Fig. 11.

Fracture surface observation results after tensile tests (FE-SEM) of (a,b) Al3012 and (c,d) Al-0.7Mn alloys.

여기에서 두 합금들 모두 연성 파괴의 특징인 전형적인 표면 dimple들과 컵-앤-콘(cup-and-cone) 파면들을 나타냈다. 파단면에서 상기 dimple들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개발 합금의 경우 평균 11.33±4.51 um, 기존 합금은 평균 8.99±4.56 um로 측정되어, 개발 합금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그림 12에 제시한 것처럼 개발 합금의 dimple 깊이가 기존 합금에 비하여 더 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Fig. 12.

High magnification fracture surface observation results after tensile tests (FE-SEM, EDS) of (a) Al3012 and (b) Al-0.7Mn alloys.

이는 초기 미세조직에서 관찰된 개발 Al-0.7Mn 합금에 존재하는 금속간 화학물의 높은 분율과 큰 크기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l-Mn 계 합금에서 연성 파괴에서 공동 형성의 우선적인 자리는 금속간 화합물들이 될 수 있다[8]. 인장 시험에서 공동 형성은 네킹(necking) 발생 전에 시작되지만, 네킹이 일어나 정수압(hydrostatic pressure)의 인장 응력이 발단된 이후에 보다 더 활발해진다. 보통 금속간 화합물의 분율과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공동이 더 크고 많이 형성되기 쉽고 금속간 화합물 간의 거리가 줄어듦에 따라 공동이 형성한 후에 서로 연결되기가 쉬우며, 이에 따라서 소재의 연신율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8, 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개발 합금의 연신율이 기존 합금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앞선 그림 3의 EBSD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개발 Al-0.7Mn 합금에서 기존 Al3102 합금보다 결정립 크기가 현저히 (약 1/2배로) 감소한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그림 13에 두 합금 파단면들의 횡단면을 EBSD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여기에서 결정립 미세화 효과를 명확히 볼 수 있다. 즉 결정립이 미세할수록 인장 하중 조건에서 응력이 더 균일하게 분포하여 응력 집중을 분산시키고 금속간 화합물 주위에 공동 형성에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그 결과로 높은 연신율이 유도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Fig. 13.

Cross-sectional EBSD analysis results of fractured specimens of (a) Al3102 and (b) Al-0.7Mn alloys.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 Al3102 합금에서 Mn 함량을 증가시키고 Fe 함량을 제어한 개량 Al-0.7Mn을 제조하고 그 미세조직과 부식 저항성 및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비교재로서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한 기존 Al3102 합금을 함께 사용하였다. 두 소재들의 미세조직, 부식 저항성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Mn과 Fe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두 소재들의 초기 미세조직은 주로 α-Al 기지와 Al6(Mn, Fe) 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량 합금에서 높은 Mn 함량과 낮은 Fe 함량에 기인하여 Al6(Mn, Fe) 상의 분율이 증가하고 그 사이즈도 함께 커졌다. 이와 함께 추가 열처리 공정(균질화 및 공랭 처리) 적용 시, 개량 Al-0.7Mn 합금의 높은 Al6(Mn, Fe) 금속간 화합물들의 분율에 기인하여 결정립 고착(pining) 효과가 더 강하게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개량 합금의 결정립 크기가 기존 합금에 비하여 현저히 작게 나타났다.

두 합금들의 부식 저항성 평가 결과, 부식 전위(Ecorr)는 개량 합금에서 -680.1 mV, 기존 합금에서 -652.4 mV로 나타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부식 전류(Icorr)는 개량 합금에서 49.86 μA, 기존 합금에서 53.91 μA로 얻어졌고 부식 속도는 개량 합금 0.541 mm/year, 기존 합금 0.585 mm/year로 측정되었다. 즉 개량 합금에서 더 낮은 부식 전류와 부식 속도로 대표되는 우수한 부식 저항성을 나타냈다. 개량 Al-0.7Mn 합금에서는 기존 합금보다 금속간 화합물 Al6(Mn, Fe)의 크기가 크고 높은 분율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식 전류(Icorr)와 부식 속도가 낮게(우수한 부식 저항성) 얻어진 이유는 α-Al상과 Al6(Mn, Fe) 상 안에 함유된 높은 Mn 함량과 낮은 Fe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두 소재들의 인장 시험 결과, 항복 강도는 개량 Al-0.7Mn 합금에서 59.63 MPa, 기존 합금에서 51.01 MPa로 측정되었고 인장 강도는 개량 합금 92.55 MPa로 기존 합금 78.39 MPa로 얻어졌으며 연신율을 개량 합금 28.53%, 기존 합금은 30.46%를 보였다. 즉 개량 합금이 소폭 감소한 연신율과 크게 향상된 강도 특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경향은 경도 측정 결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개량 Al-0.7Mn 합금의 금속간 화합물들의 크기가 크고 그 분율도 높아 Al6(Mn, Fe) 상에 의한 강화 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에 기인한다. 또한 개량 합금은 기존 합금보다 더 미세한 결정립 크기를 보이고 있어 결정립 미세화로 인한 강도 증가도 또 다른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 통상 자원부의 글로벌 주력 산업 품질 대응 뿌리 기술 개발 사업(No. 20011767)과 한국 연구 재단의소재 혁신 선도 프로젝트 사업(NRF-2020M3H4A3106456)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Ali M.. Sadegh and William M. Worek, Marks' Standard Handbook for Mechanical Engineers 8th Edth ed. p. 6–50. McGraw Hill. New York: 1996.
2. Gundersen J.T.B., Aytaç A., Nordlien J.H., Nişancıoğlu K.. Corros Sci 46:697. 2004;
3. Pettersen T., Furu T., Håkonsen A.. Materials Science Forum 396–402:1067. 2002;
4. Song T.-U., Koo J.-U., Jeon S.-B., Jeong C.-Y.. Korean J. Met. Mater 61:311. 2023;
5. Kang H.W., Kim S. B., Jang B. L., Kim H. K.. Korean J. Met. Mater 61:338. 2023;
6. Mondolfo L. F.. Manganese in Aluminium Alloys p. 212. Manganese Centre, Neuilly sur Seine. France: 1977.
7. Jiang X., Li N., He H., Zhang X.J., Li C.C., Yang H.. Materials Science Forum 546–549:845. 2007;
8. Kelly A., Nicholson R.B., eds. Strengthening Methods in Crystals Elsevier. UK: 1971.
9. Nam S. W., Lee D. H.. Met. Maters. Int 6:13. 2000;
10. Burleigh T. D., Rennick R. C., Bovard F. S.. Corrosion 49:683. 1993;
11. Van Horn K. R.. Properties, Physical Metallurgy and Phase Diagrams p. 212. ASM. Ohio: 1971.
12. Tangen S., Sjølstad K., Furu T., Nes E.. Metallurgical and Materials Transactions MA 41:2970. 2010;
13. Cahn R. W., Haasen P., Kramer E. J.. Materials Science and Technology: A Comprehensive Treatment p. 242–273. pp. 242-244 and pp. 267-273. VCH. Weinheim, Germany: 1996.
14. Nisancioglu K.. Proc. 3rd Int. Conf. on Aluminium Alloys In : Arnberg L., Lohne O., Nes E., Ryum N., eds. p. 239–259. Trondheim. Norway: 1992.
15. Nisancioglu K.. J. Electrochem. Soc 137:69. 1990;
16. Gundersen J.T.B., Aytaç A., Nordlien J.H., Nişancıoğlu K.. Corros Sci 46:697. 2004;
17. Davoodi A., Pan J., Leygraf C., Norgren S.. Electrochim Acta 52:7697. 2007;
18. Koroleva E. v, Thompson G. e, Hollrigl G, Bloeck M. Corros Sci 41:1475. 1999;
19. Zamin M.. Corrosion 37:627. 1981;
20. Nisancioglu K.. A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Corrosion Resistance of a New AlMn Alloy with a High Manganese Content, STF34 F38011 SINTEF. Trondheim, Norway: 1983.
21. MatWeb. Aluminum 3102 (A93102) Alloy https://www.matweb.com/search/QuickText.aspx?SearchText=A93102. 2024.
22. Drits M. E., Kadaner E. S., Padezhnova E. M., Rokhlin L. L., Sviderskaya Z. A., Turkina N. L.. Phase Diagrams of Aluminum- and Magnesium-Based Systems In : Abrikosov N. Kh., ed. p. 248. Nauka. Moscow: 1977.
23. Phillips H. W. L.. Phillips, Annotated Equilibrium Diagrams of Some Aluminium Alloy Systems, Monograph and Report Series no. 25 The Institute of Metals. London: 1959.
24. Koroleva E. V., Thompson G. E., Hollrigl G., Bloeck M.. Corrosion Sci 41:1475. 199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Microstructural observation result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FE-SEM).

Fig. 2.

XRD phase analysis results of conventional Al3102 and modified Al-0.7Mn alloys.

Fig. 3.

EPMA analysis result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Fig. 4.

EBSD IPF map and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is results of initial microstructure of (a,c) Al3102 and (b,d) Al-0.7Mn alloys.

Fig. 5.

Tafel polarization plots of galvanic polarization corrosion test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Fig. 6.

Surface observation results (FE-SEM, EDS) after galvanic corrosion tests of (a,b) Al3102 and (c,d) Al-0.7Mn alloys.

Fig. 7.

Cross-section observation results (OM) after galvanic corrosion tests of (a) Al3102 and (b) Al-0.7Mn alloys.

Fig. 8.

Schematic diagram of Corrosion mechanism of Al-Mn alloys[5,6].

Fig. 9.

(a) Component analysis results of Al6(Mn, Fe) of Al3102 and Al-0.7Mn alloys (FE-SEM, EDS), (b) those of Mn and Fe elements of α-Al (FE-TEM, EDS), (c, d) SEM images, (e, f) TEM images.

Fig. 10.

Room temperature tensile stress-strain curve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Fig. 11.

Fracture surface observation results after tensile tests (FE-SEM) of (a,b) Al3012 and (c,d) Al-0.7Mn alloys.

Fig. 12.

High magnification fracture surface observation results after tensile tests (FE-SEM, EDS) of (a) Al3012 and (b) Al-0.7Mn alloys.

Fig. 13.

Cross-sectional EBSD analysis results of fractured specimens of (a) Al3102 and (b) Al-0.7Mn alloys.

Table 1.

Chemical compositions of conventional Al3102 and modified Al-0.7Mn alloys used in this study (in wt.%).

Wt.% Al Mn Fe Si
Al3102 (target) Bal. 0.05 to 0.4 0.7 max 0.4 max
Al3102 (ICP) Bal. 0.492 0.253 0.134
Al-0.7Mn (target) Bal. 0.7 0.1 0.1
Al-0.7Mn (ICP) Bal. 0.747 0.119 0.095

Table 2.

Al6(Mn, Fe) size fractions and average grain size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Al3102 Al-0.7Mn
Al6(Mn, Fe) Fraction[%] 0.37±0.12 0.89±0.24
Al6(Mn, Fe) Size[μm] 1.58±0.58 2.91±1.9
Average Grain Size[μm] 259.54 133.67

Table 3.

Galvanic polarization corrosion result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Al3102 Al-0.7Mn
Ecorr[mV] -654.629 ± 4.341 -667.539 ± 7.290
Icorr[μA] 48.969± 4.309 42.831± 3.949
Corrosion rate [mm/year] 0.531± 0.047 0.465± 0.043

Table 4.

Approximate corrosion potential (Ecorr) values of aluminium and some intermetallic particles (mV, SCE) based on ASTM G69(NaCl-hydrogen peroxide solution)[3,4].

Alloy or metal or intermetallic particles Ecorr[mV, SCE]
Al -760
Al6Mn -760
Al6(Mn, Fe) -763 to -737
Α-Al12(Mn, Fe)3Si -747
Al3Fe -470

Table 5.

Room temperature tensile properties of Al3102 and Al-0.7Mn alloys.

Al3102 Al-0.7Mn
Vickers hardness[HV] 29.8 ± 0.6 39.5 ± 0.8
Yield Strength[MPa] 49.82 ± 0.51 60.79 ± 1.52
Tensile Strength[MPa] 78.84 ± 0.49 95.01 ± 2.55
Elongation[%] 31.91 ± 1.32 29.02 ± 1.05